구글애드센스 ads.txt와 google sellers.json 파일 오류 해결하기
google sellers.json 해결하기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구글 애드센스를 달게되면 "판매자 정보를 google sellers.json 파일에 게시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공개 상태를 검토하려면 계정 설정 페이지를 방문하세요"라는 경고를 만나게 됩니다. 처음 애드센스를 승인받고 설레임도 잠시 이런 경고를 만나면 어떻게 해야 하나 당황하게 됩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안내 문구에 해결책이 들어 있습니다. 공개 상태를 검토하라고 하며, 계정 설정 페이지를 방문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ads.txt 상태를 보면 찾을 수 없음이라고 나옵니다. ads.txt 파일이 없다는 뜻입니다. 걱정마세요. 해결하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계정 - 계정정보] 메뉴를 클릭합니다. 판매자 정보 공개 상태에서 공개를 선택한 후, 해당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그럼 끝입니다. 저는 이미 공개로 해서 노란 경고배너가 없어진 상태입니다. 참 쉽죠?
구글애드센스 ads.txt 오류 해결하기 - 티스토리
다음으로 가장 또 식겁하는 오류가 ads.txt 관련 오류입니다. "수익 손실 위험 - 수익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사이트에서 발견된 ads.txt 파일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런 문구입니다. sellers.json 경고는 노란 색이였는데, 요 놈은 빨간색상으로 느낌표까지 있고, 수익 손실 어쩌구 하니.. 살짝 놀라고 당황하게 됩니다. 저도 처음에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구글링을 해보았습니다. 티스토리에는 해당 파일을 업로드할 수 없으니 해결방법이 없다라는 블로그도 보았습니다. 그런가? 하다가.. 직접 해결 방법을 찾았습니다. ^ ^ 유휴~~
먼저 티스트로 블로그의 경우 해당 도메인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안내 문구를 본 후, [복사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후, 메모장을 열고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기 한 후, ads.txt파일로 저장합니다. 참 쉽죠?
그 다음 티스토리로 간 후, [스킨 편집] 메뉴를 클릭합니다. 구글 애드승인까지 받았다면 [스킨 편집] 메뉴가 어디 있는지 다 아시죠? 다음과 같은 스킨 편집 화면에서 [html편집]을 클릭합니다.
[파일 업로드]탭을 클릭한 후, 오른편 하단의 [추가]를 클릭합니다. 아까 메모장에 만든 ads.txt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그런데 업로드된 경로를 보면 images 폴더에 업로드되어 있다고 나옵니다. ads.txt 파일은 도메인 루트경로에 올라가야 작동되는데 말이지요.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실제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보면, 루트 최상단에 해당 파일이 잘 올라가 있습니다.
구글애드센스 ads.txt 오류 해결하기 - 아임웹
저는 다른 도메인은 아임웹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도메인을 클릭합니다.
[복사하기]를 클릭하여 코드를 복사합니다.
아임웹 대시보드로 옵니다. [환경설정 - SEO, 헤더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ads.txt] 항목에 복사한 코드를 붙여넣기 한 후, 오른쪽 상단의 [저장]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끝입니다.
관련하여 구글 Ads.txt 가이드도 한번 읽어보시면 됩니다. ads.txt 파일을 적용하는 데 최대 한달이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저는 이틀 정도 후에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바로 되면.. 좋을 텐데.. 내가 잘 했는지, 못했는지.. 알수 없이 하염없이 기다려야 합니다. 그러나, 걱정마세요. 위에 설명한대로 차례로 하면 몇일내에 곧 정상적으로 잘 적용됩니다.
열심히 살다 문득 들어오면.. 다음과 같이 잘 적용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전 이틀 걸렸습니다. 블로그는 기다림을 잊지 마세요^^